뉴스아트 편집부 |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지역 문화예술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2025년 지역대표예술단체 지원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이 사업은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와 지역 예술단체의 안정적 창작 활동 지원을 목표로 하며, 전례 없는 규모의 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무용, 연극, 음악, 전통 등 4개 분야의 순수예술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단체당 최대 20억 원(국비 및 지방비 합산)을 지원한다. 지원 기간은 최대 3년이며, 특히 지자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국비 지원 비율을 최대 70%까지 확대한 점이 눈에 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이 사업은 지역 내 우수 예술단체를 발굴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원함으로써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도권 활동 단체의 지역 유치를 장려하고 지역의 인물이나 설화 등을 소재로 한 작품 창작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지역 예술 생태계 활성화에 초점을 맞췄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과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수 단체에 대한 대규모 지원이 예술계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규모 지원을 받는 단체와 그렇지 못한 단체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 내 예술 생태계의 균형을 해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되지 못한 단체들을 위한 대안적 지원 방안이나, 선정 단체와 비선정 단체 간의 협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러한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지속가능성 강화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3년의 지원 기간 이후 단체들의 자립 방안이 관건이다. 단계적 지원 축소 등 연착륙 방안과 함께 자립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지원에 의존하다가 지원이 끊기면 단체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지원 기간 중 단체의 자체 수익 모델 개발, 후원자 확보, 마케팅 역량 강화 등을 위한 교육과 컨설팅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3년 이후에도 성과에 따라 규모를 줄이면서 점진적으로 지원을 연장하는 방안 등도 고려해볼 만하다.
지역 정체성 강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수도권 단체 유치로 인한 지역 고유의 문화예술 특색 약화 우려에 대해 지역 예술인과 외부 유치 예술인 간 협업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외부 단체의 유입이 지역 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동시에 지역 고유의 문화적 색채가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을 소재로 한 작품 창작을 장려하고, 지역 예술인들과 외부 유치 예술인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거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여 지역 공동체와 예술 활동 간의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2025년 지역대표예술단체 지원사업'은 9월 30일부터 11월 29일까지 공모를 진행하며, 선정 결과는 연내 발표될 예정이다. 이 사업이 한국 문화예술의 균형 발전과 질적 도약을 이끄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문화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 지자체, 예술단체, 그리고 시민들의 협력적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