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편집부 | 문화체육관광부가 2025년 '문화가 있는 날-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이를 통해 문화환경취약지역, 혁신도시, 문화지구는 물론 이제 산업단지까지 문화의 손길이 닿게 되어 전국 38만여 명의 국민에게 문화예술의 풍요로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문화진흥원과 함께 2025년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이 있는 주간에 전국 곳곳에서 공연, 전시, 체험, 교육 등 지역별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올해 사업의 변화다. 기존 4월부터 11월이었던 프로그램 제공 기간을 3월부터 11월로 확대했으며, 문화환경취약지역, 혁신도시, 문화지구에 더해 산업단지를 새로운 지원 대상으로 추가했다. 이러한 확대로 더 많은 지역의 국민들이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산업단지가 새로운 지원 대상으로 추가된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그간 문화 혜택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산업단지 근로자들에게도 이제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근로 환경 속에서도 문화적 여유를 찾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가 있는 날' 주간에 모두 1000여 회의 프로그램을 운영해 38만여 명에게 문화를 배달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전국 53개 지역에서 831개 프로그램을 운영해 26만여 명의 참여를 이끌어낸 것보다 확대된 규모다.
이를 위해 지난달 25일과 26일 '로컬 100' 중 하나인 정동길(서울시립미술관)에서 수행기관과 참여단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연수회(오리엔테이션)가 개최됐다. 이 연수회는 사업 안내와 지역별 사업 계획 발표, 질의응답을 통해 새로 참여하는 수행기관과 참여 단체 관계자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올해 사업을 내실 있게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사업 관계자들이 지역 고유의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발굴해 대표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문화기획 관련 주제 특강과 '로컬 100' 정동길 현장 방문도 진행했다. '로컬 100'은 지역의 문화 매력을 발굴하고 지역문화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역의 명소, 콘텐츠, 명인 등을 선정한 사업이다.
정동길은 한국 근현대 문화예술의 출발지인 정동극장을 비롯해 옛 러시아공사관, 정동교회, 배재학당 등 근대 문화유산이 풍부하게 남아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정동 한바퀴', 우리나라 최초의 문화유산 야행인 '정동야행'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펼쳐지고 있어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의 좋은 모델로 소개됐다.
송윤석 문체부 지역문화정책관은 "앞으로도 문화가 있는 날 사업을 비롯해 지역 특성과 수요에 맞는 지원을 통해 지역에서 누리는 문화, 문화로 매력 있는 지역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화가 있는 날-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문화가 있는 날' 주간에 문화환경취약지역, 혁신도시, 문화지구, 그리고 이제는 산업단지에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공연, 전시, 체험, 교육 등 지역별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5 문화가 있는 날-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정책과(044-203-2631)나 지역문화진흥원 문화사업부(02-2623-3141)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