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편집부 | 2025년 10월 15일부터 28일까지 57th 갤러리에서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열리는 칡뫼 김구 작가의 개인전 ‘황무지, 유령의 벌판’은 우리 시대의 어두운 이면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고발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작가는 분단된 현실과 자본주의의 폐해 속에서 신음하는 인간 군상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한 총체적 파국을 ‘황무지’와 ‘유령의 벌판’이라는 상징적 공간으로 그려낸다. "나는 내 눈에 보이는 세상을 그릴 뿐이다" 칡뫼 김구는 작가 노트를 통해 자신의 예술이 "내가 사는 세상의 이야기"이자 "시대의 모습이자 기록"임을 분명히 한다. 그는 동서양이나 장르,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이 목격한 세상의 본질을 담아내고자 한다. 작가는 그림의 기원을 반구대 암각화에서 찾으며, 예술의 본질이 감각적 표현을 넘어 공동체의 가치와 삶의 이야기를 구현하는 데 있음을 강조한다. 그에게 그림은 허공으로 사라지는 말을 붙잡아두는 이미지이자, 이야기 그 자체이다. 작가가 바라보는 세상은 "분단의 세상이고 문명의 세례 아래 신음하는 인간들이 살고 있"으며, "자본에 휘둘리는 낙오자가 보이고 우리가 만든 가짜희망 우상의 세계이며 그로 인해
황경하 | 재즈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 정수민이 그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잔해 (Remnants)]를 들고 돌아왔다. "남은 것들을 정리했다. 사라진 것, 남겨진 것, 그 사이 어딘가에 있던 것들. 기억은 정확하지 않고, 감정은 오래 가지 않는다. 이건 그냥, 그 이후의 소리다." 앨범을 여는 이 짧은 글귀는, 데뷔 이래 줄곧 사회의 소외된 풍경과 인간 내면의 깊은 감정을 탐구해온 그가 도달한 새로운 음악적 경지를 암시한다. 이번 앨범은 사건의 중심이 아닌 그 주변부, 폭풍이 아닌 그 후의 고요함, 기억이 아닌 기억의 흔적을 소리로 그려내는 깊은 사색의 공간이다. 베이스를 든 철학자, 시대를 연주하는 베이시스트 정수민은 현대 한국 재즈 씬에서 가장 뚜렷한 자기 언어를 가진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그는 콘트라베이스라는, 묵묵히 뒤를 받치는 역할에 머무르기 쉬운 악기를 전면에 내세워 시대와 인간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져왔다. 그의 철학은 2018년 데뷔 앨범 [Neo-liberalism]에서부터 선명했다.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의 주소를 딴 '강남 478'과 같은 곡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처와 도시의 비정한 이면을 서정적인 재즈 선율로 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