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황경하 기자 | 2024년, 전쟁과 분쟁의 소식이 끊이지 않는 시대에 발표된 '눈앞의 마음'은 포크 듀오 나뭇잎들이 평화를 염원하며 내놓은 곡이다. 12개 팀이 참여한 '이름을 모르는 먼 곳의 그대에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들은 자신들만의 섬세한 음악적 언어로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다. 나뭇잎들은 포크 장르 특유의 친밀한 음악적 접근을 통해 거대한 평화라는 주제를 개인의 시선으로 풀어낸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이들이 선택한 서정적 관점이다. 대부분의 반전 음악들이 전쟁의 참상을 직접적으로 고발하거나 저항의 목소리를 내는 것과 달리, '눈앞의 마음'은 일상의 작은 순간들과 개인의 감정선을 통해 평화의 가치를 이야기한다. 가사는 개인의 내면에서 시작해 타인을 향한 시선으로, 다시 세상을 향한 희망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슬픔과 기쁨이 찾아오고 떠나가고 맴도네"라는 도입부는 일상의 순환성을 담담하게 그려내며, "모든 마음이 그곳에 닿기를 기도하고 노래하겠네"라는 마지막 구절은 평화를 향한 간절한 염원을 표현한다. 여울과 원걸의 조화로운 하모니는 마치 두 개의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리듯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여울의 맑은 음색과 원걸의 따뜻한 중
뉴스아트 황경하 기자 | 2024년 현재, 세계는 여전히 깊은 전쟁의 그림자 속에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3년째 장기화되고 있으며, 가자지구의 분쟁은 민간인들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 한반도 역시 끊이지 않는 긴장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별을 보러 간 사람'은 이 시대가 직면한 폭력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아낸다. 『이름을 모르는 먼 곳의 그대에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녹음된 이 곡은, 독립음악가 김인의 예술적 성숙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현대 한국 인디음악의 사회적 역할을 재고하게 만든다. 이 곡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운드의 유기적 결합이다. 김인의 어쿠스틱/일렉트릭 기타와 보컬이 만들어내는 따스한 질감은 곡의 정서적 토대를 형성한다. 여기에 신디사이저와 드럼 프로그래밍이 더해져 현대적 깊이와 공간감을 획득한다. 특히 신디사이저의 패드 사운드는 마치 고통을 움켜쥐는 듯한 음향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가사의 정서적 깊이를 청각적으로 구현해낸다. 사운드의 배치 또한 세심하게 계획되었다. 도입부의 최소한의 편성에서 시작해, 점차 층위를 쌓아가는 구성은 개인의 친밀한 기억에서 보편적 평화의 메시지로 확장되는 가사의 흐름과 정확히 일치한
김동산과 블루이웃의 '물결'은 컴필레이션 앨범 <이름을 모르는 먼 곳의 그대에게>에 수록된 곡으로 음원포털을 통해 발매를 앞두고 있다. 본지를 통해 미리 음원을 들어볼 수 있도록 공개한다. 음원 발매 후에는 비공개로 전환될 예정이다. 황경하 · 김동산과 블루이웃 - 물결 황경하 기획자 | 수원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출장작곡가 김동산은 한국 인디음악씬에서 특별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그의 음악은 포크와 블루스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특유의 방식으로 주목받아왔다. "천 원에 노래 한 곡 만들어 드립니다"라는 문구로 시작된 그의 여정은 이윽고 우리 시대의 아픔을 기록하는 작업으로 발전했다. 공동체의 붕괴나 빈민, 노동자가 당하는 착취를 다룬 그의 이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물결' 역시 개인과 사회의 접점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물결'은 밴드의 강렬한 사운드로 시작해 청자의 이목을 단번에 사로잡는다. 김동산의 포크 뮤지션으로서의 이력을 고려하면 의외의 선택이지만, 이는 곡이 다루는 주제의 무게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류준철의 건반과 이인우의 베이스, 김예준의 드럼이 만들어내는 중후한 록 사운드는 70년대 Crosby, St
황경하 기획자 | 까르의 'TRANSITION'은 현대 사회의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그 속에서 발견하는 희망을 담아낸 작품이다. 포크 뮤지션으로서 까르는 자신의 경험과 철학을 진솔한 음악 언어로 풀어내는데, 특히 이 곡에서는 개인의 내면에서 시작해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이 인상적이다. 음악적으로 'TRANSITION'은 어쿠스틱한 포크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되, 다양하고 깊이 있는 편곡으로 청자를 사로잡는다. 까르의 리드미컬한 기타 연주를 중심으로, 카혼의 생동감 있는 리듬과 훌라(HOOLA) 멤버들의 조화로운 코러스가 더해져 곡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끈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고조되는 리듬과 점층적으로 쌓이는 코러스 워크는 집회 현장의 에너지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 베이스와 퍼커션은 곡의 민첩성과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리는데, 이는 전통적 포크 사운드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는 시도로 읽힌다. 가사는 "나는 세계가 무서웠어"라는 솔직한 고백으로 시작한다. 핵의 위험과 환경 오염으로 상징되는 현대 사회의 불안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이 시작은, 청자들의 공감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 불안이 일본의 생태 평화 철학자들과의 만
황경하 기획자 | DIY, 펑크가 일으킨 변화의 시작 1970년대 중반 영국의 음악계는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었다. 프로그레시브 록과 디스코의 전성기 속에서, 음악은 점점 더 기술적 완성도와 화려한 프로덕션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고도로 숙련된 연주 실력과 값비싼 악기, 대형 스튜디오에서의 녹음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다. 음악은 더 이상 일반 대중의 것이 아닌, 선택받은 소수의 전유물이 되어가는 듯했다. 이러한 흐름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내민 것이 바로 펑크 록이었다. 1976년 Sex Pistols의 등장은 영국 음악계에 충격파를 몰고 왔다. 서툰 연주와 거친 사운드, 분노에 찬 목소리로 그들은 '누구나 음악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파했다. The Clash, The Damned 등이 뒤를 이었고, 펑크는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대부분은 거대 자본의 음반사들과 계약을 맺고 활동했다. Sex Pistols는 EMI와 A&M을 거쳐 Virgin Records와 계약했고, The Clash 역시 CBS Records의 품에 안겼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반항은 기존 음악 산업 시스템 내에서의 제한된 저항에 그칠 수
황경하 기획자 | 대중음악계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지만, 전쟁의 참상을 이토록 섬세하게 다룬 작품을 마주하기는 쉽지 않다. 자이(Jai)와 HANASH의 협업으로 탄생한 '분홍색 패딩 소녀'는 전쟁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한 소녀의 시선으로 담아내며, 청자들의 마음을 섬세하게 울리려는 접근이 인상적이다. 이 곡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반전(反戰) 메시지를 넘어선 서사적 깊이다. 분홍색 패딩이라는 일상적 소재는 전쟁의 비극성을 더욱 극명하게 드러내는 장치로 작용한다. "그리고 다음 장엔 팔 하나를 잃은 분홍색 패딩 그 소녀를 보았네"라는 가사는 전쟁의 잔혹성을 드러내면서도, "나빠서 그런게 아닐거라며 아이의 미소와 함께 아픔이 전해진다"는 구절을 통해 상처 속에서도 순수함을 잃지 않은 소녀의 모습을 그려낸다. 이러한 대비는 무고한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는 전쟁의 비극성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낸다. 자이의 보컬은 이 곡의 정서적 중심축을 이룬다. 중저음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음색과 절제된 감정 표현이 곡의 메시지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든다. 자이의 보컬이 전달하는 서사적 깊이는 이야기 전달을 넘어선다. 특유의 무겁고 슬픈 음색으로 전쟁의
황경하 기획자 | 모모의 "If this can be tolerated, what can't be? Why we bear catastrophe if we're so free?"은 현대 한국 재즈 씬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음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지는 작품이다. 예진 안젤라 박과 황슬기로 구성된 이 듀오는 재즈의 본질적 요소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음악을 통해 우리 시대의 핵심적인 질문들을 제기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의 음악은 청각적인 즐거움을 넘어 청자의 내면에 깊은 반향을 일으키며, 현대 사회의 모순과 개인의 실존적 고민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If this can be tolerated, what can't be? Why we bear catastrophe if we're so free?"은 전쟁과 폭력이 만연한 현 세계 질서에 대한 날카로운 문제제기를 담고 있다. 이 질문은 우리가 '자유롭다'고 믿는 사회에서 어떻게 이토록 끔찍한 폭력과 파괴를 용인하고 있는지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모모는 이 곡을 통해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 그리고 한반도의 분단 상황 등 세계 곳
이서영의 '우리'는 컴필레이션 앨범 <이름을 모르는 먼 곳의 그대에게>에 수록된 곡으로 음원포털을 통해 발매를 앞두고 있다. 본지를 통해 미리 음원을 들어볼 수 있도록 공개한다. 음원 발매 후에는 비공개로 전환될 예정이다. 황경하 · 이서영 - 우리 황경하 기획자 | 싱어송라이터이자 숲해설가로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온 이서영의 '우리'는 아티스트의 대학 시절 창작곡이 십 년이라는 시간의 무게를 더해 완성된 작품이다. 이 곡은 한 개인의 내밀한 서정이 시대의 목소리로 확장되는 특별한 순간을 포착하며, 현대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 존재의 본질적 고독을 섬세하게 드러낸다. 피아노와 보컬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구성에 코러스,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플루겔혼이 더해진 새로운 편성은 곡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확장한다. 특히 플루겔혼의 서정적이고 깊이 있는 음색은 가사의 시적 이미지를 한층 풍성하게 만든다. 각 악기들은 독자적인 성부를 그리면서도 유기적인 앙상블을 이루며, 이는 '우리'라는 제목이 함의하는 집단성의 메타포로도 읽힌다. 도입부는 피아노와 보컬의 정적인 대화로 시작하여, 점차 다른 악기들이 더해지며 음악적 텍스처가 두터워진다. 중반부에서는
전승일 작가 aniexe@daum.net | 진경산수, 비로소 조선 땅의 아름다움을 그리다!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를 필자가 미디어아트 작업을 위해 부분 재구성했다. <금강전도> 이미지는 자유이용저작물(public domain)이다. <금강전도>(金剛全圖)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이 1734년(영조 10년)에 내금강의 실경을 직접 보고 그린 우리나라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표적인 걸작이다. 수묵담채로 그렸으며 그림의 크기는 가로 94.5cm, 세로 130.8cm이고, 국보 제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내금강은 금강산의 서부지역으로 비로봉이 주봉을 이루며 기암절벽과 폭포들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미와 계곡미를 펼쳐 보인다. 내금강은 8개 탐승구역으로 나눈다. 정선은 입구인 장안사부터 비로봉까지 샅샅이 탐승하고 한 화면에 재배치하여 그렸다. <금강전도>는 원형구도를 이루고 있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부감시(俯瞰視) 그림이다. 오른쪽의 바위봉우리들은 내리긋는 수직준법을 사용하여 거칠고 날카로운 느낌으로 표현했고, 왼쪽 나무숲과 토산은 미점준으로 부드럽게 그렸다. 화면 중심에는 만폭동 계곡이 위
황경하 기획자 | 남수(본명 남수현)는 한국의 작곡가 겸 가수로, 포크와 재즈, 그리고 뉴에이지 요소를 융합한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아티스트이다. 수원 행궁동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알리는 데도 힘쓰고 있다. 그녀의 음악적 여정은 재즈 피아니스트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자신만의 음악적 색채를 찾아가며 작곡가 겸 가수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다. 남수의 '안녕(먼 곳의 그대에게)'은 현대사회의 복잡한 양상 속에서 순수한 인간애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다. 이 곡은 단순한 멜로디와 절제된 편곡으로 메시지에 집중하게 하는 동시에, 깊은 울림을 전달한다. 곡의 구조는 다소 절제된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 안에서 남수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가 드러난다. 다소 무겁고 슬프게 느껴지는 피아노 반주는 묵묵하게 나아가며 곡의 분위기를 이끌어간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허밍이다. 이 허밍은 곡의 정서를 강화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가사로 표현하기 어려운 슬픔, 걱정, 염려와 같은 복잡한 감정들을 허밍으로 섬세하게 표현함으로써, 리스너의 마음에 직접적으로 와 닿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는 마치 먼 곳의 누군가를 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