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김시우 기자 | 최근 언론을 뜨겁게 달군 하이브-어도어 경영권 사태에 대한 토론회가 열린다. 두 진영의 갈등은 시대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케이팝 제작 시스템과 문화산업 환경에서 나왔다. 문화연대에서 레이블 시장의 뿌리깊은 관행이 어떻게 이런 문제를 낳았는지 파헤쳐 본다.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야권의 압승이다. 문화연대는 이번 총전 전에 주요 정당에게 문화정책 과제에 대하여 질의하고 답변서를 받았다. 답변을 받은 정당은 노동당, 녹색정의당, 민주당, 새로운미래, 조국혁신당, 진보당이다. 국민의 힘은 없었다. 정책 과제에 대하여 답변한 이들 정당이 전체 300석 가운데 187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이 175석, 조국혁신당 12석이다. 그러면, 22대 국회에서는 문화정책이 달라질 것을 기대해도 될까? 답변 취합 결과 대부분의 정당은 11개 주요 과제에 찬성하며 문화예술계 현안 및 문제 해결에 개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국혁신당은 ▲<예술전문인력의 처우 개선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 ▲<블랙리스트 특별법> 제정에 대해서는 '추후 검토' 의사를 밝혔다. 문화연대는 국회와 정당 차원에서 해당 과제들이 실질적으로 추진되기 위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현장 문화예술인들과의 소통과 협력이 이뤄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행과제로 제시한 당 차원에서의 문화정책 협의기구 등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지난 1월 24일 징역 2년으로 감형된 김기춘씨가 설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되었다. 김기춘은 2년형으로 감형되었어도 6개월 형이 남아 있어서 상고할 것이 확실했다. 그런데 지난 31일 마감이었던 재상고를 하지 않음으로써 다음 날인 2월 1일 자동으로 형이 확정되었다. 원래대로라면 남은 6개월 형을 살기 위해 재수감되어야 한다. 그런데 5일 뒤인 2월 6일 대통령 특별 사면 대상자가 되면서, 남은 기간을 복역할 필요가 없어짐은 물론 블랙리스트 주모자로서의 책임도 벗었다. 이에 김기춘이 사면 대상자가 될 것을 미리 알고 재상고를 포기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정부는 사전 조율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지만, 사전 조율 여부와 무관하게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하여 정부가 가볍게 받아들이이고 있다는 인상을 준 것은 분명하다. 블랙리스트 사건의 주요 실무자로서 논란이 많던 유인촌 문화체육부장관 임명 강행에 이어 블랙리스트 사건의 주요 책임자인 김기춘에 대한 전격 사면을 한 것은, 윤석열차 사건 등에서 보여준 윤석열 정부의 태도가 달라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에 블랙리스트 이후와 문화연대는 오늘(7일) <사법
뉴스아트 김시우 기자 | ‘고 이선균 배우를 죽음에 이르게 한 언론과 경찰, 검찰과 정부를 규탄하는 문화예술인행동’ <더 이상 죽이지마라!>의 첫 번째 집회가 열린다. 집회에서는 고 이선균 배우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슬픔과 사회적 공분을 국민들과 함께 나누고, 수사과정의 진상규명 및 유관자들의 사죄를 요구할 예정이다. 집회는 1월 27일 토요일 오후 3시 시청역 7번 출구의 시청역~숭례문 앞 대로에서 열릴 예정이며,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의 연서명을 받고 있다. 연서명을 위한 호소문에서 이선균 배우의 죽음은, ▲뚜렷한 증거 없이 공개소환 및 공개조사한 경찰, ▲가짜뉴스로 마녀사냥을 벌인 황색언론, ▲정치적 위기를 마약과의 전쟁으로 돌파하려는 과정에서 희생양을 찾은 정권에 의한 사회적 타살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