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찬의 연주, ‘살성’과 ‘골(骨)성’의 완벽한 균형
이왕준 명지의료재단 이사장 기고 | [편집자주] 이왕준 명지의료재단이사장은 10년 전부터 병원 내에 예술치유센터를 운영할 정도로 클래식을 사랑한다. 감염병 전문가로서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 방역 과정에서 중책을 성실히 수행하면서도, 환우와 의료진을 위한 힐링 콘서트를 멈추지 않았다. 수많은 예술단체를 지원하고 기업과 연결한 공로로 2021 메세나 대상 및 메세나인 상을 받았다. 이 글은 지난 8월 26일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아트홀에서 열린 임윤찬 연주회를 그가 직접 보고 쓴 후기이다. 반 클라이번 콩쿨 우승 후 형성된 임윤찬 신드롬 때문에 요새 그의 실황 공연 티켓을 구하는게 하늘의 별따기이다. 어제 공연도 판매시작 10분만에 1000석이 넘는 티켓이 바로 매진되었고 5만원 짜리 티켓이 50만원에 거래되었다 한다. 가히 임윤찬 열풍은 클래식계에서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초유의 현상이다. 과거 조성진 쇼팽콩쿨 우승 때 하고도 비교할 수 없다. 운 좋게 구한 티켓 덕에 실황 연주로는 처음으로 그의 타건을 직접 들어 볼 수 있었다. 어제 연주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은 라흐마니노프 콘체르토 3번과 함께 이번 반 클라이번 콩쿨의 결승곡이었다. 오케스트라는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