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편집부 | '청계천 8가'의 민중가수 손현숙이 철학자 니체의 사유를 품고 전국 순회공연의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소규모 공간에서 관객과 삶을 나누며 시대정신을 노래하는 그의 음악은 힙합을 넘어 철학까지, 끊임없는 진화를 증명한다. 노동 현장에서 철학의 무대로, 시대를 관통하는 손현숙의 끝나지 않는 노래 유랑이 다시 시작되었다. 민중가수 손현숙이 철학자 니체의 사유를 담은 2025년 지역 순회 콘서트를 이어간다. 1990년대 민중 록그룹 '천지인'의 보컬로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손현숙은 2024년 대구, 울산, 광주, 정선, 서울 공연에 이어 올해 수원, 제천, 군포를 거쳐 가을을 맞아 세 차례의 콘서트를 더 개최한다. 10월 26일 성남 마녀의 숲, 10월 29일 부산 서면시장, 11월 5일 제주 삼달다방으로 이어지는 이번 순회공연은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무대로 관객들을 만난다. 손현숙의 지역 순회 콘서트는 대형 공연장이 아닌 관객과 가까이 호흡할 수 있는 작은 공간에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시사 전문지 인터뷰에서 서현주 기자는 "작은 무대, 깊은 울림. 손현숙은 가까이 다가온다"며 "크지 않은 공연장, 적지 않은 사람들의 마음
뉴스아트 편집부 | 과거 대한민국 철강 산업의 심장이었던 서울 문래동이 오는 11월, 강철보다 단단한 사운드로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대한민국 신진 메탈 뮤지션들의 대표적인 등용문으로 자리 잡은 ‘아이언맨스페셜 시즌 6’가 11월 22일과 23일 양일간 문래동 라이브 클럽 ‘후케즈(Hukez)’에서 개최된다. ‘철보다 단단한 사운드, 불보다 뜨거운 열정’이라는 슬로건 아래, PanzerKorps, Ashbringer, 미친딸랑이 등 국내외 19개 팀이 무대에 올라 다채로운 메탈 음악의 향연을 선보인다. 문래동과 헤비메탈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다. 쇠를 깎고 다듬는 소리가 가득했던 이곳의 산업적 유산은 헤비메탈 장르가 가진 묵직하고 날카로운 사운드, 저항적인 이미지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착안한 ‘문래메탈시티(Mullae Metal City)’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된 ‘아이언맨스페셜’은 영화 ‘어벤져스 2’ 촬영지로 유명해진 문래동의 골목에서 출발했다. 페스티벌은 기성 무대에서 기회를 잡기 어려웠던 차세대 메탈 뮤지션들에게 소중한 공연 기회를 제공하고, 뮤지션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씬(scene)을 함께 일구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뉴스아트 편집부 | 최근 공개된 듀오 사바하(Sabbaha)의 "Debt Shroud" 영상은 하나의 강렬하고도 불경한 시청각적 제의(祭儀)처럼 보여진다. 영상은 시작과 동시에 보는 이를 현실에서 분리해, 숨 막히는 붉은빛의 심연으로 끌어들인다. 이 작품은 경기도 예술가 공동체인 '경기아트콜렉티브 협동조합'의 전폭적인 협력 아래 탄생했으며, 밴드의 확고한 음악적 고집과 공동체의 창작 에너지가 결합하여 만들어낸 예술적 성취라 할 수 있다. 시각적 혼돈: 연출된 사이비-오컬트 미학 영상은 시각적인 측면에서부터 '사이비-오컬트'라는 밴드의 정체성을 집요하게 구축한다. 수원 ACME STUDIO의 잘 설계된 스튜디오는 거미줄과 붉은 천으로 뒤덮여, 마치 오랫동안 봉인되었던 비밀스러운 제단이나 이단의 내밀한 성소처럼 변모했다. 이 연출된 혼돈의 중심에는 영상의 핵심 아이콘인 기타리스트가 서 있다. 얼굴 전체를 가린 하얀 천은 고전적인 유령의 형상을 차용하는 동시에, 특정 종교 집단의 예복이나 시신을 감싸는 수의(Shroud)를 연상시킨다. 얼굴 부분은 거칠게 뜯겨져 나가 검은 심연만이 남아있어, 비명이나 존재의 소멸을 상징하는 듯한 섬뜩함을 자아낸다. 가장 이질적이면
뉴스아트 편집부 | "펑크는 죽지 않았다, 다만 포크가 되었을 뿐." 한때는 날 선 펑크록으로 세상을 향해 고함치던 뮤지션이 이제는 통기타 하나에 의지해 낮은 목소리로 상처받은 이들을 위로한다. "당신의 삶이 노래가 됩니다." 작지만 위대한 사람들의 곁을 지키며 그들의 서사를 블루스로 써 내려온 '출장 작곡가'도 있다. 오는 2025년 11월 9일 일요일 저녁 7시, 수원 행궁동의 소박하지만 단단한 라이브 클럽 '도트(d.o.t)'에서 결코 평범하지 않은 두 음악가의 이야기가 교차한다. 바로 유동혁과 '김동산과 블루이웃'의 이야기다. 이들의 만남은 한국 인디씬의 진솔한 현재와 음악이 지닌 힘을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상실의 아픔을 딛고 선 '펑크포크', 유동혁 공연의 포문을 여는 유동혁은 그의 음악 여정 자체가 한 편의 드라마다. 그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활동하며 한국 인디씬에 강렬한 족적을 남긴 펑크록 밴드 '요괴인간'의 멤버였다. 과격한 디스토션 기타와 사회에 대한 거침없는 메시지, 기괴한 분장과 무대 매너로 무장했던 '요괴인간'은 그 시절 펑크 키드들의 심장을 뛰게 했다. 2015년 발표한 마지막 앨범 『펑크가 뭐가 나빠』는 그들의 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