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지난 2월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김예지, 이상헌 국회의원 주최로 "예술인 자녀돌봄 지원사업"에 대하여 국회토론회가 열렸다. 예술인 자녀돌봄 지원사업의 필요성은, △공연이 끝나는 늦은 시간이나 주말까지 언제든지 자녀를 돌봐주는 보육시설이 △야간에 대중교통으로 접근 가능한 곳에 거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번 토론은, 전액 삭감되었던 예술인자녀돌봄센터 예산을 다시 확보해 준 김예지 의원이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했으며, 토론에 앞서 이상헌 의원의 영상 인사, 김예지 의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하 예복) 박영정 대표, 서울연극협회 박정의 회장,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방지영 이사장 등 총 6명의 환영사 및 축사가 있을 정도로 관심이 높았다. 네트워크가 중요한 예술활동, 고립된 육아는 더욱 치명적 예술인자녀돌봄센터 예산을 내년에도 확보할 수 있으리란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자녀 돌봄에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예술인들은 이날, 단지 자녀돌봄을 넘어서서 '부모-예술인'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 그 정체성에 대한 고민까지 논의를 발전시켰다. 예술활동에서는 네트워크가 그 어떤 분야에서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예술인이 육아과정에서 고립되는 것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자녀를 둔 예술인들의 든든한 버팀목이던 대학로와 망원동의 예술인자녀 돌봄센터가 올해 말로 문을 닫는다. 돌봄센터에 지원되던 예산 5억 8000만원이 전액 삭감되었기 때문이다. 대학로의 반디돌봄센터는 2014년에, 망원동의 예봄돌봄센터는 2017년에 각각 개소하여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예술인들에게 큰 버팀목이 되어왔다. 올해 정부는 각 지역의 돌봄센터가 충분히 확충되었다는 판단 하에, 특정 직업군 자녀에 대한 돌봄지원을 중단하기로 하였다. 이제 모두 국가의 돌봄시스템으로 들어오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예술인들의 자녀양육 계획이 혼란에 빠졌다. 다니던 돌봄센터를 갑자기 폐쇄하고 알아서 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말도 황당하지만, 예술인 자녀들이 들어갈만한 공공돌봄센터를 찾는 일이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특히 대학로 반디돌봄센터의 경우 연극인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타 돌봄센터와 달리 몇 가지 특이점이 있다. 우선, 공연할 때만 아이를 맡기면 되는 연극인들을 위해 운영 시간이 연극인들에게 맞춰져 있다. 여는 시간이 주중에는 오후 1시, 주말에는 오전 11시인 대신, 닫는 시간이 저녁 8시~10시로 공연을 마칠 때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