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경하 기획자 | 남수(본명 남수현)는 한국의 작곡가 겸 가수로, 포크와 재즈, 그리고 뉴에이지 요소를 융합한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아티스트이다. 수원 행궁동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알리는 데도 힘쓰고 있다. 그녀의 음악적 여정은 재즈 피아니스트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자신만의 음악적 색채를 찾아가며 작곡가 겸 가수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다. 남수의 '안녕(먼 곳의 그대에게)'은 현대사회의 복잡한 양상 속에서 순수한 인간애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다. 이 곡은 단순한 멜로디와 절제된 편곡으로 메시지에 집중하게 하는 동시에, 깊은 울림을 전달한다. 곡의 구조는 다소 절제된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 안에서 남수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가 드러난다. 다소 무겁고 슬프게 느껴지는 피아노 반주는 묵묵하게 나아가며 곡의 분위기를 이끌어간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허밍이다. 이 허밍은 곡의 정서를 강화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가사로 표현하기 어려운 슬픔, 걱정, 염려와 같은 복잡한 감정들을 허밍으로 섬세하게 표현함으로써, 리스너의 마음에 직접적으로 와 닿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는 마치 먼 곳의 누군가를 향한
황경하 기획자 | 모레도토요일의 "We will sail for your freedom"은 음악적 깊이와 사회적 메시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작품이다. 제주 강정마을에서 만난 모레와 도토로 구성된 이 포크 듀오는 평화에 대한 염원과 연대의 정신을 섬세한 음악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이들의 음악적 여정은 강정마을의 현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모레도토요일은 단순히 음악을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현장에서 평화 활동을 펼치는 '지킴이'로 활동하고 있다. 해군기지 앞에서 펼쳐지는 인간띠잇기 등의 평화행동에 참여하며, 그들은 음악과 실천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We will sail for your freedom"은 이러한 그들의 경험과 신념이 응축된 작품이다. 곡의 원형은 2016년 Emma Ringqvist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여성들을 지지하기 위해 작곡한 것으로, 모레도토요일이 이를 재해석했다. 13명의 활동가들이 가사 작성에 참여했다는 점은 이 노래가 집단적 연대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노래 속에서 모레의 맑고 깨끗한 보컬과 도토의 풍성한 음색이 절묘한 균형을 이룬다. 도토의 어쿠스틱 기타,
정진석의 노래 ‘이땅이 니땅이가’는 컴필레이션 앨범 <이름을 모르는 먼 곳의 그대에게>에 수록된 곡으로 음원포털을 통해 발매를 앞두고 있다. 본지를 통해 미리 음원을 들어볼 수 있도록 공개한다. 정진석 - 이땅이 니땅이가 황경하 기획자 | 음악가 정진석은 본래 미술을 전공한 작가로서 정진석은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에 눈을 뜨고, 음악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 시대의 아픔을 노래하기 시작했다. '이땅이 니땅이가'는 그의 이러한 여정의 결실이자, 우리 현대사의 아픈 단면을 담아낸 블루스 넘버로, 음악적 완성도와 사회적 메시지의 조화를 이룬 수작이다. 음악적 특징과 구성: 한국형 블루스의 새로운 지평 정진석은 이 곡에서 전통적인 블루스의 틀을 한국적 정서와 결합시키는 데 성공했다.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로 노래하는 보컬은 미국 남부의 블루스 가수들을 연상시키면서도, 동시에 한국 시골 노인들의 구술 전통을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독특한 보컬 스타일은 곡의 주제의식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청자로 하여금 소성리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편곡에 있어서도 음악가 정진석의 탁월한 감각을 엿볼 수 있다. 고통스러운
황경하 기획자 | 20분의 영화, 수십년의 이야기를 담다이준용 감독의 단편 다큐멘터리 '편안한 밤'은 20분 남짓한 러닝타임으로 우리 사회의 아픈 단면을 포착해낸다. 서울 성북구 장위7구역 재개발 현장의 마지막 주민 조한정 씨의 이야기를 통해, 이 영화는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밀려나는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전달한다. 영화의 제목 '편안한 밤'에는 아이러니가 담겨 있다. 조한정 씨에게 밤은 강제 철거의 위협으로부터 잠시나마 안도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다. 하지만 이 '편안함'의 이면에는 깊은 고통과 불안이 자리 잡고 있다. 이준용 감독은 이러한 역설을 통해 재개발 과정에서 벌어지는 비인간적인 현실을 드러낸다. 이 작품은 20분이라는 짧은 시간 속에 한 인간의 전 생애와, 한 동네의 수십 년 역사, 그리고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담아낸다. 이준용 감독은 이 모든 것을 균형 있게 표현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깊은 감동과 성찰의 시간을 갖게 한다. 경제학도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으로이준용 감독의 이력은 그의 작품만큼 흥미롭다. 그는 원래 일반 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2008년 촛불 시위를 경험하며 사회 변화에 대한 열망을 품게 된 그는 총학생회 활동을 하며
천 원으로 시작된 음악 여정 "천 원에 노래 한 곡 만들어 드립니다." 이 소박한 문구로 시작된 김동산의 음악 여정은 한국 대중음악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습니다. 환경운동가에서 '출장 작곡가'로 변신한 김동산은 지난 10년간 거리와 카페, 때로는 철거 농성장에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즉석에서 노래를 만들어왔습니다. 2017년에 발표된 그의 첫 정규앨범 '서울·수원 이야기'는 이러한 작업의 결실입니다. 이 앨범으로 그는 '제16회 한국대중음악상' 포크 부문 후보에 오르며 작업의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김동산의 진가는 단순히 음악적 완성도에만 있지 않습니다. 그의 노래는 우리 시대의 아픔을 기록한 살아있는 역사서이자,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메가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동산의 음악 여정은 2010년 수원의 한 공원에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환경운동가로 활동하던 그는 행사에서 자작곡을 불렀지만 관객의 반응이 시원찮자, 즉흥적으로 '천 원에 노래를 만들어드립니다'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첫 '고객'은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한 초등학생이었습니다. 그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만든 노래에 함께 온 누나가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며, 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