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지난 6월 12일부터 14일 동안 열린 2024 콘텐츠산업포럼에서는 웹툰과 문학분야에 이용되는 AI기술도 소개되었다. 국내 웹툰 시장 작품 수는 2022년 1만 2273개에서 2023년 2만 139개로 성장했다. 2017년 3800억원이던 웹툰 시장 규모도 2022년 2조 9000억, 2023년 3조 6000억원으로 커졌다. 카카오픽코마가 일본 시장에서 성공하면서, '만가왕국'인 일본에서도 우리나라 웹툰이 성공을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웹툰 한 편 제작에 200시간 갈아넣는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갈려나가는 웹툰 작가 및 관련 종사자들이다. 정승환 라이언 로켓 대표는, 웹툰 한 편 제작에 드는 시간이 200시간이라고 했다. 웹툰 한 컷 제작에 콘티, 스케치, 선화, 채색, 후보정 및 배경 등, 손이 많기 가기 때문이다. '나 혼자만 레벨업' 정성락 작가가 2022년 뇌출혈로 사망했을 때도 고작 37세였다. 그는 "금방 충전해서 돌아오도록 하겠다"는 메시지를 남기고 휴재 중이었다. 과중한 웹툰 노동강도가 사망원인이었을 것이라는 정황에 그의 죽음은 큰 충격이었다. 여전히 웹툰 종사자들은 하루 평균 10.5시간 일한다. 14시간 일하는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지난 1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콘텐츠산업포럼에서 AI가 가져온 놀라운 기술혁신 현장 사례를 만날 수 있었다. 기조발제를 맡은 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사업부 이건복 상무는 기회의 발견과 적용이라는 비즈니스의 본질은 AI시대에도 마찬가지라고 하면서, 기업은 생성형 AI를 놀라운 속도로 현실화해서 수익화하는 중이라고 하였다. AI로 인해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비용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최근 '소라'라는 AI플랫폼은 인력 동원, 해외출장, 직접 실행을 통하지 않고도 아이디어가 어떻게 구현될지 시뮬레이션해 주었다. 소라가 만든 인공지능 동영상은, 거리의 간판이나 네온사인까지 철저히 현실을 반영했다. 중력의 영향을 받는 걸음걸이와 그에 따라 흔들리는 모습까지 구현했다. 불과 2~3년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이다. 심지어 선글라스에 비치는 경치까지 세밀하게 담아냈다. 이건복 상무는 기업이 AI에 투자하는 1달러 당 평균 수익은 3.5달러이며, 조직이 AI투자수익을 실현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14개월이라고 한다. 수익률이 높고 수익실현기간은 매우 짧다. CJ E&M 버추얼프로덕션팀 안희수 팀장은 AI를 활용한 <눈물의 여왕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AI가 온 세계를 휩쓸고 있다. 각종 AI포럼도 여기저기서 열리고 있다. 지난 6월 1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개최한 <2024 콘텐츠산업포럼>도 그 중 하나이다. 여기서 영화, 광고, 방송, 게임, 음악, 이야기 등에서 실제로 AI가 활용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통해 상상 이상으로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는 AI 파고를 실감할 수 있었다. 첫째 날은 정책 세션이었다. AI가 영상제작에 미치는 영향 사례 발표와 함께 저작권 문제가 다루어졌다. 발표 현장에서 느끼기에 학습데이터의 저작권 문제는 이미 큰 관심사가 아니었다. 법무법인 린의 구태언 TMT 총괄 파트너는 다른 나라의 AI규제동향을 소개하면서, 디지털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토종 AI가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AI발전 가로막지 못하게 저작권법 개방적 운영해야? 이는 개인정보나 저작권보호법이 AI발전을 가로막지 못하도록 개방적인 운영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는 이를 "디지털금모으기"에 비유하면서, 외환위기 시절 국민들이 금을 모아 위기를 극복(?)했듯이, 지금은 합심하여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는 것이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과 함께 실시한 '2023 웹툰 실태조사(사업체,작가)' 결과 2022년 웹툰 산업 매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8,290억 원을 기록했다. 웹툰 산업은 실태조사를 실시한 2018년 이래 5년간 계속 커졌다. 전체 산업 중에서 가장 성장이 두드러진 것은 플랫폼사이다. 이들의 2022년 매출액은 2021년 8,241억 원 대비 36.8% 증가한 1조 1,277억 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웹툰 작가의 연평균 수입은 계속 감소했다. 웹툰 작가의 연평균 수입은 '최근 1년 동안 1년 내내 연재한 경우'는 약 9,840만 원, '최근 1년 이내 연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6,476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030만 원, 2,097만 원 감소한 값이다. 이에 대하여 문체부는 2022년 코로나19가 완화되면서 웹툰 이용 횟수가 감소하고 경쟁이 치열해진 결과로 해석한다. 하지만 플랫폼의 매출이 36.8% 증가했는데도 작가의 수입이 20%가량 줄어든 상황이 초래할 창작자 노동환경 악화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웹툰 작가가 일주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