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한국스마트협동조합에서 북서울신협과 제휴하여 2022년 12월에 출시한 예술인상호부조대출상품이 특허출원되었다. 예술인상호부조대출은 긴급 생활자금 등의 부족으로 어려워 하던 예술인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2023년에는 <씨앗페>를 통해 예술인 스스로 대출자금을 마련함으로써 더 많은 예술인들에게 대출의 문을 열어주었다. 예술인상호부조대출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민간단체에서 은행시스템을 이용해 금융소외계층에게 대출을 시행한 것이다. 이 방식은 여러 장점을 가진다. ▲제 1금융권인 은행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다. ▲신용등급이 낮은 예술인도 대출받을 수 있다. ▲신청 후 2~3일내로 받을 수 있다. ▲미리 조성된 자금의 6~7배를 대출해 줄 수 있다. ▲신용대출임에도 이자율 연 5%에 불과하다. ▲예술인의 신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금융소외계층도 은행보다 낮은 금리로 금융기관을 이용할 수 있게 해 주고,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이나 신용등급을 제대로 받기 어려운 계층의 신용등급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 또한 은행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그 발상이 안정적이고 창의적일 뿐 아니라, 금융
뉴스아트 김시우 기자 | 11월 22일, 문화연대와 블랙리스트 이후는 유인촌 장관 파면을 요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성명은 지난 17일 이명박 전 대통령과 정부, 국정원이 피해자들에게 각 500만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 이후에 나온 것으로, 유인촌 장관은 해당 정부의 문화체육부장관이었다. 유인촌 장관은 청문회에서 “(블랙리스트는)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인한 바 있다. 이들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말이 거짓임이 또다시 밝혀졌다."고 하면서, "국정원 개혁위원회에 따르면 MB정부 당시인 2009년 국정원은 당시 기조실장 주도로 '좌파 연예인 대응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여론을 주도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 연예인 등에 대한 압박 활동을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불법행위를 저지른" 유인촌 장관이 "인사청문회에서 위증"을 했고, "장관 취임 이후에도 정부의 공식적인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결과에 대해 근거없는 비난을 반복"하는 유인촌 장관을 "당장 해임하는 것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피해자들에게 최소한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문화예술계에서도 확대 성명을 준비 중이며, 12월 첫 주에 기자회견을 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