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집합금지 명령은 예술계에게도 큰 타격을 주었다. 거의 전 예술 분야에 큰 타격을 입혔고, 이로 인해 최상층을 제외한 모든 예술인들이 코로나로 인해 사회경제적 수준이 급격히 나빠졌다고 느낀다. 거의 80%의 예술인이 스스로 중하층으로 전락하였다고 여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장우현, 이지연) 코로나로 인한 2020년 1~5월간 공연 및 전시 분야 피해액은 약 3,437억원으로 추정된다. 예술 활동이 취소, 연기된 예술인은 87.4%이다. 2~5월간 공연예술분야 고용 감소로 인한 손실 피해는 최소 226억원이며 프리랜서 예술인의 피해는 약 163~381억원으로 추정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양혜원) 문화관광부의 예술인실태조사의 모집단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반기 고용감소 손실은 339억, 전체 예술인의 72.5%에 달하는 프리랜서 예술인의 피해는 572억원까지 커진다.(문화관광 인사이트 146호) 공연예술이 집중된 하반기 피해 규모는 이의 1.5배 쯤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물론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비슷한 시기 미국 예술인의 63%는 실업을 경험했고 95%가 예술가로서의 수입을 잃었다. 특히 유색인종 아티스트의 실업률은 69%로 백인 아티
코로나는 비대면 예술 활동 등, 기존 예술 활동 방식을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미국의 경우 77%의 예술 조직이 현재 가상 콘텐츠/프로그래밍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공연 전시 등 기존의 접촉식 예술 활동은 크게 축소되었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12월 미국 비영리 예술 단체의 일자리 감소율(-12.5%)은 전체 비영리 단체의 평균(-3.7%) 보다 3배 이상 더 나쁘다고 한다. (존스 홉킨스 대학 연구) 이로 인해 위기를 맞은 것은 예술인들만이 아니다. 예술로 위로받고 치유되어야 하는 사람들, 예술과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아야 하는 많은 영역에 정체가 발생한다. 지금이야말로 사회적으로 합의된 예술의 기능과 가치를 검증해 볼 시기이다. 예술의 역할에 대하여서는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감동, 통합, 치유 등이다. 하지만 예술은 그 이상의 구체적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예술 관련 비영리 단체인 Americans for the Arts에서는 해마다 연구프로젝트 결과를 토대로 “예술을 후원해야 하는 10가지 이유”를 발표한다. 2010년도 발표 자료와 비교해 보면 예술의 본질적 측면은 유지하면서 경제적 기여도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뉴스아트 이명신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세 가지 기준으로 예술인을 정의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예술인은 약 22.9만명으로 추산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이 가운데 5,109명을 대상으로 2020년 예술인 실태조사를 하였습니다. 전업 예술인은 전체의 55.1%입니다. 예술인의 78.2%가 자유계약자(프리랜서)라고 합니다. 전업 예술인은 코로나 시국에 어떻게 살았을까요? 예술 활동으로 500만 원도 벌지 못한 사람이 41.3%라고 합니다. 전업 예술이라면 생존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예술 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인 사람은 40.1%입니다. 이들도 다른 수입이 없다면 매우 곤란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예술 활동으로 연간 2,000만원도 벌지 못한 예술인이 87.6%입니다. 정부 발표 최저임금은 연봉 2300만원입니다. 90% 이상의 예술인이 예술 활동으로는 최저임금도 벌지 못한 겁니다. 예술활동으로는 최저임금도 벌어들이지 못했지만 예술인 가구 총수입은 평균 4,127만원이라고 합니다. 평균이 이렇게 높아진 것은, 많은 예술인과 예술인 가족들이 예술 이외의 다양한 일을 하면서 버티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