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국서의 ‘관객모독’이 돌아왔다

URL복사

도발과 욕설 속에 숨겨진 카타르시스

기국서 연출의 ‘관객모독’이 8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올랐다. 지난 7월1일부터 오는 10월10일까지 대학로 아티스탄홀에서 100일 동안의 장기 공연에 들어갔다.

 

정부 지원금이나 자체 예산으로 마련한 무대가 아니라 기국서 연출의 팬이 기부한 후원금으로 올리는 작품이라 그 의미가 더 크다. 관객을 모독하는 연극이 관객의 후원으로 살아나 새로운 동력을 얻게 된 셈이다. 새로운 후원 문화를 기대할 수 있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관객모독’은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오스트리아 출생 페트 한트케가 1966년에 발표한 희곡이다. 1978년 기국서 연출의 ‘극단76’에 의해 무대에 오른 후 꾸준히 재 공연되어 관객을 모아 온 대표적 레퍼토리다.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으며, 기국서를 일약 천재 연출가로 불리게 만든 작품이기도 하다.

 

 

'관객모독’은 관객에게 욕설과 물세례를 퍼붓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파격적인 연극으로, 공연 때마다 화제가 되어왔다. 띄어쓰기를 무시한 중복된 의미의 단어를 사용하거나 목사님 설교 같은 어조나 약장수 같은 상황을 설정하는 등 언어만을 매개로 한 독특한 연극이다. 공연을 처음 접하는 관객은 불편하고 당혹스럽지만, 사람들은 이 작품을 반극이라 불렀고 작가는 언어연극이라 한다.

 

이 작품은 관객이 연극에 대해 갖고 있는 기존의 연극적 형식이나 선입견을 완전히 무시하고 파괴한다. 플롯이나 서사는 물론, 무대 막이나 장을 구분하는 자체가 없다. 빈 의자 네개만 놓인 텅 빈 무대 위로 막이 올라가면 네 명의 배우가 걸어 나온다. 무대와 객석의 조명이 동시에 밝아지면서 배우와 관객은 동등한 관계에서 서로 바라보게 된다. 이어서 네 배우가 속사포처럼 쏟아내는 대사들, 특별한 순서도 연관성도 없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대사는 무대 위에 어떤 '이야기'나 '환상'도 만들어내지 않는다. 이를 통해 배우들은 관객이 연극에 대해 갖고 있는 환상이나 관례적으로 반복해온 습관, 공연을 본다는 것의 의미 자체를 전복시켜버린다.

 

 

“이 연극에서 무언가를 얻을 것이라는 기대는 마십시오. 다른 연극에서 볼 수 있는 것을 볼 수 없을 것이고,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도 없을 것입니다.”라는 대사처럼 ‘관객모독’은 관객이 기대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연극을 전개한다. 배우들이 쏟아내는 셀 수 없는 욕설과 말의 유회, 이런 일련의 행위가 관객들을 자극하며 그들이 자연스럽게 입을 열고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폭넓은 감정의 진폭으로 해방감을 맛보게 하는 것이 바로 관객모독이 선사하는 카타르시스다. 그 본심은 메너리즘에 빠진 연극들을 조롱하며, 수동적이고 나약한 관객들을 각성시키는 데 있다.

 

1978년의 초연에는 기주봉, 정재진, 주진모, 고수민을 내세웠으나, 젊은 배우들로 꾸린 2005년판 ‘관객모독’은 래퍼 양동근의 매력이 두드러진 무대였다. 대사의 진폭은 높아지고, 배우가 관객을 모독하는 방법도 더 잔인해진 자극적인 버전이었다.

 

공연장을 바꾸고 배우를 바꾸고 대본을 바꿔 새롭게 내놓은 이번 버전은 관객을 무대 위로 끌어올려 연기하게 하거나, 배우가 객석 통로에 들어가 관객과 호흡을 같이 하는 등 또 다른 시도를 보여준다. 극적인 사건은 없지만, 말을 맛 갈 나게 구사하는 캐릭터들이 인상적이다.

 

 

장소 : 아티스탄홀 / 기간 : 2022년 7월 1일부터 10월10일까지

공연시간 : 평일 7시30분 / 토요일 3, 6시 /

일요일, 공휴일 2, 5시 (화요일은 공연 없음)

티켓 전석 5만 원

공연문의 : 팀플레이예술기획(주) 1661-6981

 

출연 : 리얼 – 김성태, 김주희, 임주영

현도 – 이주훈, 심성필, 민들샘

극만 – 강현택, 박세욱

현실 – 홍리나, 최유리, 기은수

무대감독 : 서민균

 

뉴스아트 조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