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왜 예술인에게 묻지 않나, 인천아트플랫폼

URL복사

뉴스아트 김시우 기자 |

 

2009년에 문을 연 인천아트플랫폼은 인천의 명소였고, 블로그 포스팅의  단골아이템이다. 그런데 돌연 인천아트플랫폼이 갈등의 한가운데 섰다. 인천 아트플랫폼은 원래 전국단위 공모 방식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했었는데, 인천시가 이를 인천 작가들에게만 개방하고 전국단위 공모를 중단한 것이다.

 

 

인천시는 시민 참여가 너무 저조하다면서, 이 공간을 시민들에게 돌려주고자 한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올해에만 33개의 전시가 있었고, 레지던시 전시만 10개가 있었다. 오픈스튜디오 전시의 경우 입주작가들이 자신의 스튜디오를 오픈하여 참여하기 때문에 일반 전시보다 훨씬 많은 작품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지역에서 일부러 보러 오기도 하는 큰 행사이다. 

 

문제가 있다면, 대부분 대관 전시이며 초창기에 비해 교육이나 기타 행사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전국단위 공모 레지던시 때문일까? 인천아트플랫폼을 방문해본 사람은 안다. 이곳에는 늘 사람이 없다는 것을. 이 문제를 한 블로거가 언급한다. 

 

오랫만에 인천 아트플랫폼에 다녀왔어요^^ 아트플랫폼은... 다양한 전시와 행사가 끊이지 않는 인천의 명소죠! 하지만 갈 때마다 아쉬운 것은 사람이 많이 없다는 것 ㅜㅜㅜ  이번에 갔을 때도 행사를 진행하는 분이 그러시더라구요. 이상하게 인천 분들도 잘 모르신다고... 그렇다면 홍보를 더 하셔야 하는 건 아닌지요...  -- 네이버 Life Today 블로거

 

인천시 담당자는 시민 참여도를 올릴 방법을 예술인들과 이야기해 본 적이 있느냐는 뉴스아트의 질문에도 답변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원주에서 아카데미극장 철거 문제를 둘러싸고 그랬듯이, 시민간의 갈등으로 비화 혹은 부추겨지고 있다.

 

 

오늘(11월 14일) 언론에 일제히, 아트플랫폼이 자리한 인천 중구 신포동 주민들이 아트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환영한다는 기사가 실렸다. 신포동 자생단체연합회(새마을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가 13일 신포동 행정복지센터에서 회의를 열고 환영 성명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동안 누구나 언제든지 쉽게 들어가 문화예술을 보고 느끼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일부 예술인 전용공간으로 인식된지 모래고, 아트플랫폼 주변은 높은 장벽같았다는 것이다. 대체 그 인식의 주체는 누구이며, 장벽은 누가 만든 것인가. 


이들은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열린 공간, 예술인과 주민, 관광객이 어우러져 더욱 활력 넘치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아트플랫폼은 처음부터 열린 공간이었다.

 

2014년 당시 민경희 인천시 도시재생과 주무관은 《국토연구》라는 학술지에 「개항창조문화도시재생사업으로 진화하는 인천광역시」라는 논문을 제출하였다. 논문에서는 '인천시는 물리적 도시재생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지역자산을 활용하여 아트플랫폼을 운영'했다고 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매년 10월~12월까지 개최되는 전시프로그램 행사에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방문, ▲어린이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과 공연 프로그램 매월 진행, ▲아트플랫폼 출신 작가들이 원도심에 정착하여 갤러리, 공방, 카페 등을 창업하고 지역주민에게 교육 및 체험활동 제공, ▲예술가들이 주민대화에 참여 지역재생 모델 정립 활성화 하여 도시재생의 원동력이 됨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사업비 223억원이 들어간 아트플랫폼은 그 뒤 십여 년 동안 이렇게 도시재생사업의 자랑이자 모델이었다. 그랬던 아트플랫폼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왜 토사구팽의 대상이 되어야 할까?

 


2016년 유정복 현 인천시장은 인천 아트플랫폼을 쇼핑과 먹거리, 관광 위주의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2018년에도 신포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인천개항장 문화지구활성화사업 주민설명회를 열어 아트플랫폼 이용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인천시가 레지던시 중단 이전에 시민의 의견을 수렴했다는 것은 이런 활동을 말하는 듯하다. 

 

'원주 아카데미 극장' 철거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 합의와 설득 없이 지방자치단체장이 '어떤 목적으로' 마음먹은 일을 포기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담당자는 자치단체장의 뜻을 '받들' 뿐이다. 인천 아트플랫폼에 대한 예술인들의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지난 9일, 이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가칭)'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기능 철폐를 반대하는 시민 모임'(이하 시민모임)이 결성됐다. 아트플랫폼 초창기에 큰 기여를 한 시민단체 중심의 한 모임이다. 이들은 11월 10일 인천시의회 김종득(민·계양구2) 문화복지위원장을 면담했다. 15일에 있을 인천시의회 문화체육관광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아트플랫폼 문제를 다뤄달라고 요청했다. 이후에는 본격적인 공론화에 들어갈 생각이다. 

 

아트플랫폼 내 레지던스 작가 60여명 등 문화예술 분야의 인적 자원이 지역 곳곳에 파고들어 지역 공동체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민경희 주무관의 논문에서

 

시민단체 및 예술인들과 소통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하며 쌓아올려 극찬을 받던 아트플랫폼이다. 그 아트플랫폼이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이유가 뭘까? 인천시는 시민들의 참여율을 높이는 방법을 예술인들과 의논해봤냐는 질문에도 답변하지 못했고, 앞으로 예술인과 의논할 계획이 있느냐는 말에 대한 피드백도 끝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