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까운 시기 우리 그림 이야기

URL복사

일본 점령기에 신라와 고려의 그릇을 그려내
우리의 빛나는 고전문화를 드러내려 하다

미술평론가 최석태 |

 

병풍은 여러 장의 그림을 각기 바탕에  펴붙이고 접을 수도 있게 한 것이다. 보고 싶으면 세워서 열어본 뒤 접어서 보관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편리하다. 병풍 전체가 하나의 그림이 되기도 하지만, 각기이되 비슷한 성격의 주제나 소재를 취하는 경우도 많다. 최소 2장부터 많게는 10장 이상을 이어붙인 것도 있다. 


이도영, 나려기완, 전 12폭, 각 137. 3x32.3센티미터, 1930, 제10회 서화협회전 출품작, 경기도립박물관 소장. 

 

이도영의 특별한 기명절지 그림 가운데에는, 12폭으로 이루어진 <나려기완>이 있다.  1930년에 그린 그림이다. 앞서 <고색찬연>이나 <아> 를 소개하면서도 말했지만, 이도영은 그림에 붙이는 이름도 남다르다. 

 

이 병풍의 '나려'는, 신라의 '라'와 고려의 '려'를 연결한 말로, 대략 조선 왕조 이전의 고전문화를 가리키는 말이다. 나말 여초니, 여말 선초니 하는 말과 같이 어느 시기를 가리키는 말로 떠올리면 되겠다.

 

<나려기완>이라는 제목은, 신라의 토기와 고려의 청자 등을 통해  '우리의 빛나는 고전 문화를 보시라!'는 말을 하는 듯하다. 

 

 

병풍의 맨 오른쪽, 첫 번째 폭부터 보자. 다리가 높이 솟은 탁자 위에 소나무 분재가 그려져 있다. 가지를 넓게 벌려져 전체 화면을 거의 지배한다. 그 앞에는 기이한 모양의 돌이 세워져 있다. 화면 아래에는 영지와 연꽃 봉오리로 보이는 정물을 첨가했다. 하지만 사실 이 첫 번째 폭의 주인공은 그 사이에 있는 청자 향로다. 아래에 확대한 청자기린 향로를 보면, 기린 모양 뚜껑을 얹은 고려시기 그릇이다.

 

 

고려의 청자는 보통 신비한 빛깔과 상감기법으로 알려졌지만, 그 모양도 빼어나게 아름답다. 그래서 그것이 만들어져 사용된 고려시기에 이미 중국이나 일본에도 알려졌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며 유행이 바뀌어, 청자는 조선 말기가 되면 흔적조차 볼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땅을 집어먹으려던 일본이 우리 조상들의 무덤을 파헤쳐 부장품이었던 청자를 대량으로 발굴하여 진기한 물건으로 선물하거나 팔고 사는 골동품이 되게 만들었다.

 

이 그림에서 청자기린 향로는 뒤에 있는 괴석과 한 덩어리로 보여서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 아쉽다. 그림의 맨 아래에는, 이 그림을 그린 해에 47살이라고 밝힌 도장을 찍었다. 같은 도장이 7번째 그림에도 있다.

 

두 번째 폭에는 몸통에 구멍이 뚫리고, 어깨에는 두 마리의 뿔난 사슴을 얹은 질그릇이 등장한다. 가야 지역에서 발굴된 그릇으로, 독특한 모양으로 발굴 당시부터 눈길을 모았다. 이렇게 첫 번째와 두 번째 폭에서 시대 순서가 바뀌기는 했어도, 고려와 가야 흑은 옛신라의 대표 문물을 내세웠다. 물론 고고발굴에 의해 당시 사람들의 눈앞에 비로소 제시되는 것이다. 

 

 

 세 번째 폭과 여섯 번째 그림에는 제목이 따로 적혀있다. 이 병풍이 처음부터 일관되게 기획된 것이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어느 시대 기명인지도 잘 모를 정도다. 네 번 째 폭은 구름 속을 날아가는 학이 상감된 청자 매병과 청동거울 그리고 손잡이 달린 굽높은 토기에 담긴 바나나를 그렸다. 한 화면에  토기와 고려의 대표 상징을 넣었다. 

 

다섯 번째 그림에도 토기가 보인다. 이 병풍 보다 전전해에  잡지 <여시>에 게재한 그림 <아>에 주요하게 등장하는 바로 그 그릇이다. 가야 토기로 그 독특한 모양으로 인상에 남는 그릇이다. 여섯 번째 폭에 그려진 류의 그림은 장승업 이래 이도영의 앞뒤 시기에 활동한 화가들이 흔히 그리던 방식의 그림이다. 이도영에게도 이런 그림이 적지 않게 남아있다. 이런 종류의 그림만 본 사람은 이도영이 그저 그런 별대수롭잖은 화가로 기억할 것이다. 

 

 

별도로 제목을 적지 않았지만, 이 병풍의 나머지 그림들도 비슷한 성격이다. 다만 두번째와 네번째 그리고 아홉 번째와 마지막 폭에는 각각 토기가 그려져 있고, 아홉 번째 그림의 토기 뒤에 갈색으로 그려진 참외모양을 한 커다란 병은 청자 빛깔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고려 시기의 상감청자로 고려의 향기를 전하고 있다. 열 번째 폭에도 푸른빛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고려를 대표하는 청자 표주박 모양 병이 그려져 있어 이채로운 모습을 뽑낸다. 

 

마지막 폭에는 매화 가지를 꽂은 길다란 원통형 청동기가 화면을 지배하듯 하다. 이 청동기와 꽃그림이 압도하여 눈에 잘 뜨이지는 않지만, 아래 쪽에 뚜껑 덮인 토기 합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릇은 발이 셋인데, 토기에 발이 셋 있는 것은 우리 문화권에서만 발견된다고 한다. 그 앞에 석류와 불수감 등을 배치해 마무리했다. 그림에 적힌 글귀는, 그림을 그린 연도를 간지명과 제10회 서화협회 전람회 출품작임을 밝히고 있다. 그림의 첫 폭과 일곱 번째 폭의 아래 오른쪽에, 이 그림을 그렸을 때 화가의 나이를 새긴 도장이 찍혀있어서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나려기완>을 보고 쓴 글이 있다. 당대 최고의 인기 소설가이자 우리 옛문화, 특히 김정희의 글씨에 대한 수필을 여럿 남기기도 하고, 미술에 대한 글도 어지간히 남긴 이태준이 쓴 것이다. 그는 가난하여 일본 유학시절을 짧게 맛볼 수 없었지만, 이 기간을 길진섭 김용준과 함께 보내기도 하여 미술과 미술가에 대해 낯설지 않은 보기드문 문학가이기도 하다.

 

 

이도영 씨 <추동> 기타 (출품작) 3점 모두 병풍이다. 그 중에서도 제일 큰 만치 <나려기완>이 장내의 이채이며 재래식 기명절지에 비기어 또한 이채의 작품이다. 기명이 모두 조선 것을 참조하였음이 그렇고, 절지에 있어 현대 우리 일상생활의 것을 취하였음이 그렇다. 고아(高雅)한 작자의 개성적 반사를 느끼기에 족하였다.  - 이태준, 제10회 서화협회전을 보고(4), 동아일보, 1930. 10, 26

 

이태준이 쓴 이 관람기는 5번에 걸쳐 실려있는데, 처음 연재분부터 그의 통찰력은 눈부신 바가 있다. 이른바 근대 시기 우리 전통 그림이 처한 상황을 이처럼 잘 정리한 글도 드물다고 여겨진다. 이 부분의 글도 정확하고도 탁월한 것이다. 수년 뒤에 이도영이 사망한 뒤 열린 서화협회전람회의 이도영 특별전에서 이도영의 그림을 본 시인이자 평론가 김기림도 남다른 평가를 남겼다. 미술에 밝기로 소문이 난 두 사람이기도 하지만, 함께 구인회 활동을 하면서 자주 만나서 문학 이야기만이 아니라 그림 이야기도 많이 나누었을 것을 상상할 수 있다.

 

김기림의 글은 다음에 소개하겠지만, 먼 훗날에 이태준과 김기림은 이른바 월북, 납북자로 금기시되어 우리의 뇌리에서 오래 사라졌다가 돌아온, 어두운 역사가 있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문학은 물론, 귀하게 남긴 좋은 의견도 사라졌다가 이제 다시 돌아왔다. 이도영의 그림도 우리들에게 돌아오기를 희망한다.